제3수행편 제9장 심고와 기도 제 9 장 심고(心告)와 기도(祈禱) 사람이 출세하여 세상을 살아 가기로 하면 자력(自力)과 타력이 같이 필요하나니 자력은 타력의 근본이 되고 타력은 자력의 근본이 되나니라. 그러므로, 자신할 만한 타력을 얻은 사람은 나무 뿌리가 땅을 만남과 같은지라, 우리는 자신할 만한 법신불(法.. 지혜세상/정전.대종경 2010.03.22
제3수행편 제8장 참회문 제 8 장 참회문 (懺悔文) 음양 상승(陰陽相勝)의 도를 따라 선행자는 후일에 상생(相生)의 과보를 받고 악행자는 후일에 상극(相克)의 과보를 받는 것이 호리도 틀림이 없으되, 영원히 참회 개과하는 사람은 능히 상생 상극의 업력을 벗어나서 죄복을 자유로 할 수 있나니, 그러므로 제불조.. 지혜세상/정전.대종경 2010.03.22
제3수행편 제7장 무시선법 제 7 장 무 시 선 법 (無時禪法) 대범, 선(禪)이라 함은 원래에 분별 주착이 없는 각자의 성품을 오득하여 마음의 자유를 얻게 하는 공부인 바, 예로부터 큰 도에 뜻을 둔 사람으로서 선을 닦지 아니한 일이 없나니라. 사람이 만일 참다운 선을 닦고자 할진대 먼저 마땅히 진공(眞空)으로 체.. 지혜세상/정전.대종경 2010.03.22
제3수행편 제6장 일기법 제 6 장 일 기 법 (日記法) 1. 일기법의 대요 재가・출가와 유무식을 막론하고 당일의 유무념 처리와 학습 상황과 계문에 법과 유무를 반성하기 위하여 상시 일기법을 제정하였으며 학원이나 선원에서 훈련을 받는 공부인에게 당일내 작업한 시간 수와 당일의 수입・지출과 심신 .. 지혜세상/정전.대종경 2010.03.22
제3수행편 제5장 의두 요목 제 5 장 의두 요목 (疑頭要目) 1. 세존(世尊)이 도솔천을 떠나지 아니하시고 이미 왕궁가에 내리시며, 모태 중에서 중생 제도하기를 마치셨다 하니 그것이 무슨 뜻인가. 2. 세존이 탄생하사 천상 천하에 유아독존이라 하셨다 하니 그것이 무슨 뜻인가 3. 세존이 영산 회상에서 꽃을 들어 대.. 지혜세상/정전.대종경 2010.03.22
제3수행편 제4장 좌선법 제 4 장 좌선법 (坐禪法) 1. 좌선의 요지 대범, 좌선이라 함은 마음에 있어 망념을 쉬고 진성을 나타내는 공부이며, 몸에 있어 화기를 내리게 하고 수기를 오르게 하는 방법이니, 망념이 쉰즉 수기가 오르고 수기가 오른즉 망념이 쉬어서 몸과 마음이 한결 같으며 정신과 기운이 상쾌하리라.. 지혜세상/정전.대종경 2010.03.22
제3수행편 제3장 염불법 제 3 장 염 불 법 (念佛法) 1. 염불(念佛)의 요지(要旨) 대범, 염불이라 함은 천만 가지로 흩어진 정신을 일념으로 만들기 위한 공부법이요, 순역(順逆)경계에 흔들리는 마음을 안정시키는 공부법으로서 염불의 문구인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은 여기 말로 무량수각(無量壽覺)에 귀의한.. 지혜세상/정전.대종경 2010.03.22
제3수행편 제2장 정기훈련과 상시훈련 제 1 절 정기 훈련법(定期訓練法) 공부인에게 정기(定期)로 법의 훈련을 받게 하기 위하여 정기 훈련 과목으로 염불(念佛)・좌선(坐禪)・ 경전(經典)・강연(講演)・회화(會話)・의두(疑頭)・성리(性理)・정기 일기(定期日記)・ 상시 일기(常時日記)・주의(.. 지혜세상/정전.대종경 2010.03.22
제3 수행편 제1장 일상 수행의 요법 제 1 장 일상 수행(日常修行)의 요법(要法) 1. 심지(心地)는 원래 요란함이 없건마는 경계를 따라 있어지나니, 그 요란함을 없게 하는 것으로써 자성(自性)의 정(定)을 세우자. 2. 심지는 원래 어리석음이 없건마는 경계를 따라 있어지나니 , 그 어리석음을 없게 하는 것으로써 자성의 혜(慧).. 지혜세상/정전.대종경 2010.03.22
제2 교의편 제2장-5장 사은사요 삼학팔조 사은 - 천지은, 부모은, 동포은, 법률은 사요 - 자력양성, 지자본위, 타자녀 교육, 공도자 숭배 삼학 -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 팔조 - 진행사조 - 신 - 믿음 분 - 용장한 전진심 의 - 모르는 것을 발견하여 알고자함 성 - 간단없는 마음 사연사조 - 불신 - 믿지 아니함 탐욕 - 과히 취함 .. 지혜세상/정전.대종경 201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