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세상/글모음

마음에는 한계가 없다

청정주 2012. 11. 26. 13:32

 

 
양쪽 팔다리를 전혀 움직이지 못하는 여성이 있다.
그녀는 40여년을 그렇게 살아왔다.
불행은 그녀가 막 꽃을 피기 시작하는 
열 일곱살의 여고생 때 찾아왔다.
그녀는 언니와 강가에서 수영을 즐기고 있었다.
그러던 중 다이빙을 하겠다며 뛰어내렸다.
불행히도 바위에 머리를 부딪혀 졸지에 
사지가 마비된 환자가 되고 말았다.
몸 아래쪽 모든 감각을 완전히 잃어버렸다.
평생 팔다리도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대학에 들어가려던 꿈은 산산조각이 나 버렸고
모든 걸 남의 손에 매달려 살아가야만 했다.
침대에서 일어나고 세수를 하고 머리를 빗고 
밥을 먹고 이를 닦는 것...
이 모든 사소한 일상의 것들이 모두 다 말이다.
"이렇게 살 바에야 뭐 하러 산단 말인가.
차라리 죽는 게 백 번 낫지."
어쩌다 휠체어를 타고 외출이라도 하는 날이면 
굴러떨어질 만한 높은 곳을 찾아 두리번 거리곤 했다.
그녀는 이 세상 그 누구보다 불행한 사람이었다.
지도교사가 처음 붓을 입에 물려주며 
그림 그리는 법을 가르쳤을 때,
그녀는 자신도 모르게 붓을 거칠게 내 뱉었다.
"이런 건 장애인들이나 하는 거죠, 난 아니예요."
모든 것을 철저하게 불행의 눈으로 바라보았다.
완전히 마비되어 흐느적거리는 
자신의 팔다리만 보고 살았다.
자신의 내면 깊숙한 곳에 무엇이 들어있는지는 
전혀 거들떠 보지를 않았다.
그저 불행, 저주, 죽음만을 꿈꾸며 살았다.
그러던 어느날, 그녀는 한 사지마비 환자가 
연필을 입에 물고 알파벳을 힘겹게 
써내려가는 것을 목격했다.
호흡기에 의존한 채 입조차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남자였다.
그는 경건한 자세로 알파벳 세 글자를 천천히 
그러나 또박또박 써나갔다.
평화와 감사에 가득찬 얼굴이었다.
순간, 그녀이 얼굴이 화끈 달아올랐다.
자신은 그동안 마비된 팔다리만 바라보며 살아왔지만,
그 남자의 얼굴에서는 육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찬란한 내면의 빛이 발산되고 있었다.
그제야 그녀는 자신을 남의 눈으로 
보다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었다.
"그 순간까지만 해도 저는 남들과 비교해 
못 가진 것만 바라보며 살아왔어요. 
혼자서 일어날 수도 없고 먹을 수도 없고, 
이를 닦을 수도 없고...
그런 피상적인 것들만 바라보았죠, 
그러다가 팔다리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라는 걸 깨달았어요.
그러면서 제 내면에 감춰진 것들을 
하나 둘 꺼내 나가기 시작했죠."
'팔다리는 바로 나'라는 생각을 하니, 
팔다리가 마비되자, 자연히 자신도 마비되었다.
인생은 끝장났다고 믿었다.
하지만 생각을 돌려보니 그게 아니었다.
팔다리는 인생의 수천가지 면들 가운데 불과 
한 두 면에 불과했다.
한 두 면에 집착해 나머지, 수천가지 면을 외면하며 
살아왔던 것이다.
'나를 팔다리 이상의 존재'로 바라보자.
마비된 팔다리를 뛰어넘는 숨어있는 능력들이 
꽃을 피우기 시작한 것이다.
그녀가 붓을 입에 물고 그림 한 점을 그리는 데는 
평균 6~7개월이 걸린다.
하지만 그녀는 행복했다.
내면의 무한한 가능성을 뽑아내는 일이 
재미있기 때문이다.
"그림을 그릴 때마다 제 한계는 없다는 걸 느껴요. 
팔다리가 할 수 있는 건 한계가 있지만,
마음으로 할 수 있는 건 한계가 없으니까요?"
이 글은 김상운의 <왓칭>이라는 책에서 소개된 내용으로,
이야기 속의 주인공은 여류 화가이면서 
기독교 전도자인 조니 에릭슨 타다라는 미국 여성입니다. 
저는 이 글을 처음 접했을 때, 
참으로 마음 속 깊이 울리는 진한 감동과 함께,
다시 한번 또 열심히 살아봐야겠다는 생각과 더불어
온전한 육신을 비롯한 내게 주어진 현재의 상황에
무한한 감사를 올리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면서 인간의 한계가 과연 어디까지인가 하는 생각이 들면서
하루하루를 나타난 현상만 보지 말고 
내면 깊숙히 숨어있는 것도 조용히 살펴보면서,
나 보다 힘들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늘 감사를 올리며 
즐겁고 행복하게 살고 있는 사람들을 자주 접하는 기회를
가져야겠다는 다짐을 해 보았습니다.
또한, 한 두가지의 생각이나 현실에 집착한 나머지, 
수천가지를 외면하거나 더 많은 것을 잃어버리고 놓쳐버리고 사는 
어리석음은 범하지 않도록 더욱 생각을 돌리며 굴리고
살아야겠다는 생각도 해 보았습니다.
우리 소중한 님들!
오늘도 살아가면서 어렵고 힘들다고 그냥 포기하지 말고, 
무한한 나의 한계를 시험 삼아 또 한번 힘껏 도전해봅시다.
그리고 이 세상에는 나보다 더 어렵고 힘든 사람들이 
수없이 많다는 사실을 늘 잊지 말고 
항상 감사를 올리며 즐겁게 살아봅시다.
그러면서 늘 한 두가지에 집착하지 않고 
한 생각을 돌려서 더 많은 것을 얻으며 살아가는 
지혜로운 주인공들이 되길 염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정천경교무 합장
   

 

'지혜세상 >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탁자 위의 깨진 꽃병   (0) 2012.11.27
자고 하찮은 일이라도 지금부터   (0) 2012.11.26
거지의 동냥그릇   (0) 2012.11.24
다리를 놓는 마음   (0) 2012.11.23
최고로 아름답고 평화로운 모습   (0) 2012.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