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배 절하는 법
호흡을 할 때 또 한 가지 주의할 점은 들이쉴 때는 코로, 내쉴 때는 입으로 한다는 것. 입으로 숨을 들이쉬면 목이 붓고 비염이 생긴다.
1 합장하기
![]() 양손의 새끼손가락과 엄지손가락까지 완전히 마주 붙인다. 합장한 손끝이 코끝, 배꼽과 일직선이 되게 명치 앞에 놓는다. 팔꿈치는 겨드랑이에서 약간 떨어뜨린다. 똑바로 서서 양 뒤꿈치와 양 엄지발가락, 양 무릎을 붙이고 엉덩이 근육을 살짝 조인다. 허리와 가슴과 어깨를 펴고 얼굴엔 밝은 미소를 띤다. 발가락 끝은 방석 끝에 위치하게 한다.
2 무릎 꿇고 앉기
![]() 숨을 들이쉬면서 허리를 편 상태에서 소리가 나지 않게 천천히 무릎을 꿇으며 앉는다. 새끼발가락까지 모든 발가락을 꺾어 발은 발뒤꿈치가 벌어진 V자 모양이 되게 한다. 양 무릎을 붙이고 엉덩이는 벌어진 두 발뒤꿈치 사이에 오도록 앉는다. 앉을 때 얼굴이나 어깨, 허리, 엉덩이가 좌우로 흔들리면 안 된다.
3 두 손으로 바닥 짚기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이고 숨을 내쉬면서 손과 손 사이를 자신의 얼굴 크기만큼 (또는 주먹 두 개 넓이만큼) 벌려 앞쪽 바닥을 짚는다. 손을 너무 넓게 짚으면 허리가 아프고 좁게 짚으면 가슴이 답답해진다. 몸을 약간 앞으로 내밀면서 동시에 왼발을 오른발 위로 포갠다.
4 바닥에 머리 대기
이마를 바닥에 대는 동시에 엉덩이를 두 발뒤꿈치에 붙인다. 손바닥을 위로해서 귀 옆에 놓고 팔꿈치는 무릎과 주먹 하나 정도 사이를 두고 바닥에 댄다. 배와 가슴은 허벅지 앞부분에 닿게 하여 몸을 완전히 낮춘다.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한 후 귀 높이까지 살짝 쳐드는 자세를 취한다. 이를 접족례라고 하는데, 내 손바닥으로 부처님 발을 받쳐 올린다는 의미다. 종교적인 의미가 싫다면 접족례는 하지 않아도 좋다. 이때 숨은 계속해서 가늘고 길고 부드럽고 고요하게 내쉰다. 머리를 대는 자세에서는 잠시도 멈추지 않는다.
5 뒤로 빼면서 합장하며 앉기
접족례를 했던 손바닥을 다시 아래로 향하게 돌리고 팔을 펴 바닥을 짚으면서 ②번 자세로 돌아온다. 접족례를 하지 않았다면 이마를 바닥에 대고 잠시 멈춘 상태에서 머리를 들고 팔을 편다. 뱉어내던 날숨을 멈추고 포개놓았던 발을 V자로 만들며 다시 발가락을 꺾으면서 앉아 합장한다. 엉덩이는 두 뒤꿈치 사이에 놓는다.
6 일어나기
엉덩이를 살짝 뒤로 빼면서 발가락의 힘과 몸의 탄력을 이용해 일어나 ①번 자세로 돌아온다. 일어나면서 발뒤꿈치를 붙이고 엉덩이 바로 밑 근육 ‘사두박근’을 조인다. 이때 숨을 들이쉬면 단전까지 숨이 쏙 빨려 들어간다. 일어설 때는 엉거주춤하지 말고 가슴을 펴고 바르게 섰다가 다시 절을 시작한다.
|
'초록세상 > 밝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일원상 (0) | 2010.03.05 |
---|---|
훈훈한 세상 만드는 길 (0) | 2010.03.04 |
일체유심조 (0) | 2010.03.03 |
[스크랩] (동영상)생활불교로서의 원불교 (0) | 2010.03.02 |
당신은 어디쯤에 있나요? (0) | 2010.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