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절 정기 훈련법(定期訓練法)
공부인에게 정기(定期)로 법의 훈련을 받게 하기 위하여
정기 훈련 과목으로
염불(念佛)・좌선(坐禪)・
경전(經典)・강연(講演)・회화(會話)・의두(疑頭)・성리(性理)・정기 일기(定期日記)・
상시 일기(常時日記)・주의(注意)・조행(操行)등의 과목을 정하였였나니,
염불・좌선은 정신 수양 훈련 과목이요,
경전・강연・회화・의두・성리・정기 일기는 사리 연구 훈련 과목이요,
상시 일기・주의・조행은 작업 취사 훈련 과목이니라.
염불은
우리의 지정한 주문(呪文) 한 귀를 연하여 부르게 함이니,
이는 천지 만엽으로 흩어진 정신을 주문 한 귀에 집주하되
천념 만념을 오직 일념으로 만들기 위함이요,
좌선은
기운을 바르게 하고 마음을 지키기 위하여
마음과 기운을 단전(丹田)에 주(住)하되 한 생각이라는 주착도 없이 하여,
오직 원적 무별(圓寂無別)한 진경에 그쳐 있도록 함이니,
이는 사람의 순연한 근본 정신을 양성하는 방법이요,
경전은
우리의 지정 교서와 참고 경전 등을 이름이니,
이는 공부인으로 하여금 그 공부하는 방향로를 알게 하기 위함이요,
강연은
사리간에 어떠한 문제를 정하고 그 의지를 해석시킴이니,
이는 공부인으로 하여금 대중의 앞에서 격(格)을 갖추어 그 지견을 교환하며
혜두(慧頭)를 단련시키기 위함이요,
회화는
각자의 보고 들은 가운데 스스로 느낀 바를 자유로이 말하게 함이니,
이는 공부인에게 구속 없고 활발하게 의견을 교환하며 혜두를 단련시키기 위함이요,
의두는
대소 유무의 이치와 시비 이해의 일이며
과거 불조의 화두(話頭)중에서 의심나는 제목을 연구하여 감정을 얻게하는 것이니,
이는 연구의 깊은 경지를 밟는 공부인에게 사리간 명확한 분석을 얻도록 함이요,
성리는
우주 만유의 본래 이치와 우리의 자성 원리를 해결하여 알자 함이요,
정기 일기는
당일의 작업 시간 수와 수입 지출과
심신 작용의 처리건과 감각(感覺) 감상(感想)을 기재시킴이요,
상시 일기는
당일의 유무념 처리와 학습 상황과 계문에 범과 유무를 기재시킴이요,
주의는
사람의 육근을 동작할 때에 하기로 한 일과 안 하기로 한 일을
경우에 따라 잊어버리지 아니하고 실행하는 마음을 이름이요,
조행은
사람으로서 사람다운 행실 가짐을 이름이니,
이는 다 공부인으로 하여금
그 공부를 무시로 대조하여 실행에 옮김으로써
공부의 실효과를 얻게 하기 위함이니라.
제 2 절 상시 훈련법 (常時訓練法)
공부인에게 상시로 수행을 훈련시키기 위하여
「상시응용 주의 사항(常時應用注意事項) 」육조(六條)와
「교당 내왕시 주의 사항(敎堂來往時 注意事項 」육조를 정하였나니라.
1. 상시 응용 주의 사항
1. 응용(應用) 하는 데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기를 주의할 것이요,
2. 응용하기 전에 응용의 형세를 보아 미리 연마하기를 주의할 것이요,
3. 노는 시간이 있고 보면 경전.법규 연습하기를 주의할 것이요,
4. 경전.법규 연습하기를 대강 마친 사람은 의두 연마하기를 주의할 것이요,
5. 석반 후 살림에 대한 일이 있으면 다 마치고
잠자기 전 남은 시간이나 또는 새벽에 정신을 수양하기위하여
염불과 좌선하기를 주의할 것이요,
6. 모든 일을 처리한 뒤에 그 처리건을 생각하여 보되,
하자는 조목과 말자는 조목에
실행이 되었는가 못되었는가 대조하기를 주의할 것이니라.
2. 교당 내왕시 주의 사항
1. 상시 응용 주의 사항으로 공부하는 중
어느때든지 교당에오고 보면 그 지낸일을 일일이 문답하는 데 주의할것이요,
2. 어떠한 사항에 감각된 일이 있고 보면
그감각된 바를 보고하여 지도인의 감정 얻기를 주의할 것이요,
3. 어떠한사항에 특별히 의심나는 일이 있고 보면
그 의심된 바를 제출하여 지도인에게 해오(解悟)얻기를 주의할 것이요,
4. 매년 선기(禪期) 에는 선비(禪費)를 미리 준비 하여 가지고
선원에 입선하여 전문 공부하기를 주의할 것이요,
5. 매 예회(例會)날에는 모든 일을 미리 처결하여 놓고
그 날은 교당에 와서 공부에만 전심하기를 주의할 것이요,
6. 교당에 다녀갈 때에는
어떠한 감각이 되었는지 어떠한 의심이 밝아졌는지
소득 유무를 반조(返照)하여 본 후에 반드시 실생활에 활용하기를 주의할 것이니라.
제 3 절 정기 훈련법과 상시 훈련법의 관계
정기 훈련법과 상시 훈련법의 관계를 말하자면,
정기 훈련법은 정할 때 공부로서
수양・연구를 주체 삼아 상시 공부의 자료를 준비하는 공부법이 되며,
상시 훈련법은 동할 때 공부로서
작업 취사를 주체삼아 정기 공부의 자료를 준비하는 공부법이 되나니,
이 두 훈련법은
서로서로 도움이 되고 바탕이 되어
재세 출세의 공부인에게 일분 일각도 공부를 떠나지 않게 하는 길이 되나니라.
'지혜세상 > 정전.대종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수행편 제4장 좌선법 (0) | 2010.03.22 |
---|---|
제3수행편 제3장 염불법 (0) | 2010.03.22 |
제3 수행편 제1장 일상 수행의 요법 (0) | 2010.03.22 |
제2 교의편 제2장-5장 사은사요 삼학팔조 (0) | 2010.03.17 |
제2 교의편 제1장 일원상 법어 와 게 송 (0) | 2010.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