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세상/정전.대종경

[스크랩] 교리도

청정주 2010. 3. 14. 19:34

교리도

* 원기 28년 1월 발표 (부촉품 7)

교법의 진수가 모두 여기에 들어 있다.

(재색과 명예와 허식에 주의)

* 모양이 거북이 같다 - 문왕께서 우주의 진리를 8괘로 거북등에 그림

- 거북은 영물이며 장수를 상징한다.

* 교법의 진수를 집약하여 일목요연하게 도식으로 표현해 주신 법문

 

1. 머리 - 일원상

궁극적인 자리, 얼굴(얼이 나오는 굴)

무시광겁, 은현자재

현(생) 은(사) - 생사문, 일합상(은과 현이 둘이 아님)

 

2. 심장 - 제일 중요한 곳, 제일 깊숙한 곳

드러나지 않음, 심장부, 머리와 연결

원불교의 귀의처

일원의 위력을 얻음 - 복락

일원의 체성에 합일 - 혜광 - 광대무량한 낙원 세계

 

3. 내장 - 순환

유(有)는 변하는 자리요 무(無)는 불변하는 자리나,

유라고도 할 수 없고 무라고도 할 수 없는 자리가 이 자리며,

돌고 돈다, 지극하다 하였으나 이도 또한 가르치기 위하여

강연히 표현한 말에 불과하나니,(성리품 31)

대(大)라 함은 우주 만유의 본체를 이름이요,

소(小)라 함은 만상이 형형 색색으로 구별되어 있음을 이름이요,

유무라 함은 천지의 춘.하.추.동 사시 순환과,

풍.운.우.로.상.설(風雲雨露霜雪)과 만물의 생.로.병.사와,

흥.망.성.쇠의 변태를 이름이며 (정전 사리연구)

 

4. 두개의 문

문을 통해서 안으로 들어간다.

우리의 육신에 기도와 식도가 있는 것처럼

한 문의 이름 - 신앙문 (식도-영양분)

한 문의 이름 - 수행문 (기도-영양분을 소화)

예) 궁궐에 문반 무반이 출입하는 문이 있듯이

신앙문에는 - 사은 사요

수행문에는 - 삼학 팔조

예) 문반이 되기 위해서는 과거 시험에, 무과 과거 시험에

시험 과목이 있듯이

 

인과보응 -

진공묘유 - 공적영지와 진공묘유

일원의 진리 - 만유가 한 체성이며 만법이 한 근원이로다.

이 가운데 생멸 없는 도(道)와 인과 보응되는 이치가

서로 바탕하여 한 두렷한 기틀을 지었도다 (서품 1)

진리의 변화

 

인연과 - 인은 종자, 보이지 않음(隱)

연은 시간과 공간

과는 결과, 나타남(顯)

 

사은과 사요

사은 - 개인불공, 자유-지은 만큼 받는다

새 시대의 우주적 은의 윤리, 세상을 건지는 약재

사요 - 사회불공, 평등-세상을 고르는 법

인본주의의 평등 윤리

* 성리적 측면에서 모두 평등한다 - 불성, 업신

*사회복지와 사요의 차이

 

5. 두문의 요약

신앙 - 불공 (보은이 불공) - 처처불상 사사불공

- 일원의 위력, 대타적 관계, 表

수행 - 선 (동정간에 선) - 무시선 무처선

- 일원의 체성, 독자적, 裏

 

 

 

 

6. 행동 강령

신앙 - 사은 - 지은 보은

수행 - 삼학 - 정각 정행

불공 - 무아봉공

(이기적이면 이바지 하는 것이 아님, 우주만유에 공을 드려야)

선 - 불법활용

(동할때나 정할때나 불법으로)

 

* 신앙과 수행은 어떻게 다른가 ?

* 윤리 - 은의 윤리라야 감사가 나오고

평등의 윤리라야 불평이 없다.

 

 

출처 : 원불교대치교당
글쓴이 : 서광덕교무 원글보기
메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