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새네 학교가 있었다.
여기 참새네 교과목은 '날기', '훔쳐먹고 도망가기'
'허수아비 알아보기' 등이다.
어느날 수양 특강이 있다고 했다.
참새들은 전선 위에 줄을 지어 앉았다.
강사는 제비였다.
제비는 강의를 시작했다.
제목은 '재수 있는 새가 되려면'이었다.
"우리는 사람의 집에 둥지를 가지므로
거기서 보고 배우는 것이 많습니다.
전에 우리가 살던 집에는 딸이 둘 있었습니다.
그런데 언니가 전화를 걸 때 보면 기쁜 소식이 있었을 때였어요.
당첨 소식, 아이 낳은 소식, 시험 합격 소식....
그러나 동생이 전화를 걸 때 보면 정반대였어요.
안 좋은 소식만 전하는거지요.
사업 망한 사람 소식, 교통사고 난 소식,
시험에 떨어진 소식하며.....
나중에 보니 인생의 길도 그렇게 갈리던대요.
언니는 어디서고 반가이 맞아주는 샘물 같은 사람이 되고
동생은 더러운 물처럼 피해주는 사람이 되고요.
이 세상에는 갖가지 소식이 널려 있지요.
기쁜 소식, 슬픈 소식, 유언비어, 험담, 덕담,
다 열거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런데 이런 소식 가운데서
기쁜 소식만 전하는 새가 길조가 되는 것입니다.
누구나 길조가 될 수 있습니다.
길조가 되는 길은 지극히 간단한테
모두들 어려운 일로 잘못 알고 있습니다.
지금 당신이 전하려고 하는 그 소식이 기쁜 것인지,
안 좋은 것인지 확인해 보십시오.
만일 재수 없는 소식이라면 입을 다무십시오.
당신이 하지 않더라도 수다를 떨고 싶어
안달하는 쪽이 있으니까요."
이 이야기는 정채봉의 생각하는 동화 4집에
나오는 [샘에 오는 길]이란 제목으로 소개된 글입니다.
이 글은 사람이 살면서 기쁜 소식
좋은 소식만을 전하다보면 언제 어디서든 환영받고
기다려지는 반가운 샘물과 같은 사람이 되지만,
그렇지 않고 나쁜 소식만을 전하면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더러운 물과 같은 사람이 되므로
늘 기쁜소식과 좋은 소식만을
전하는 사람이 되라는 내용입니다.
또한, 기쁜 소식, 좋은 소식만을 전하다보면
기쁜 일, 좋은 일들이 자주 생기면서 그 앞길이 열려
결국, 재수있는 행복한 사람이 된다는 글입니다.
우리 소중한 님들!
위 이야기에서 나오는 언니와 같이
좋은소식과 기쁜 소식만을 전하는 샘물과 같은 사람이 되어서
언제 어디서나 환영받으며 재수있는 행복한 님들이 되시길
간절히 염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정천경교무 합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