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사위성에 계실 때였다.
성 안에 여든 살의 백만장자 바라문이 있었다.
완고하고 인색한 데다 탐욕스럽기가 이를데 없었다.
그는 특히 집 짓기를 좋아하여
넓은 대지에다 끊임없이 별당이다 화랑이다 하며
수십채를 넓혀나갔다.
어느날 부처님께서 살펴보니
그날 그 노인이 해를 넘기지 못하고 죽을 것을 알았다.
부처님께서는 가여운 그를 제도하기 위해
아난다를 데리고 백만장자의 집을 찾아갔다.
그날도 노인은 별당을 짓는 일에 매달려 있었다.
품삯 주는 것이 아까워 몸소 일을 진두지휘하며
이리저리 정신없이 돌아다니고 있었다.
"수고가 많으십니다.
이렇게 거창하고 으리으리한 집을 지어
누가 살려고 그러십니까?"
노인은 자랑스럽게 대답하였다.
"앞 사랑채에서는 손님을 접대하고
뒷별당에서는 내가 거처하고
남쪽 별채에서는 자식들이 살게 하고
서쪽 행랑채에서는 종들을 묵게 하고
창고에는 온갖 재물과 식량을 쌓아두지요.
여름이면 연못가 시원한 정자와 다락에 오르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햇볕이 잘 드는
이 별당에 들어가 지낼 생각이라오."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마침 생사에 관계되는 일이라 찾아왔소이다.
잠시 일손을 멈추고 이야기를 좀 나누시지요."
"지금은 몹시 바뻐서 한가하게
이야기를 나눌 틈이 없소이다.
다음에 듣도록 하지요." 라며 노인은 대답했다.
이에, 부처님은
"자식이 있다고 재산이 있다고
어리석은 이들이 자만하지만,
나도 참 나가 아니거늘
자식이라 재산이라 무엇을 자랑하리요.
더울때는 여기서 거처하리라.
추울때는 저기서 거처하리라.
어리석은 이들은 미리 염려하지만
눈 앞에 닥친 재난은 알지 못하네." 하며
간단한 게송을 읊은 후 그 집을 나오셨다.
부처님이 돌아가신 후 노인은
서까래가 떨어지는 바람에
머리를 다쳐 그 자리에서 목숨을 잃고 말았다.
부처님은 마을 입구에서 여러명의 바라문을 만났다.
"부처님, 어디를 다녀오시는 것입니까?"
"방금 죽은 노인의 집에 가서
그를 위해 설법을 하려고 했으나
그는 일이 바쁘다고 다음으로 미루었지.
세상 일의 덧없음을 알지 못한 채
그는 방금 저승길로 떠났다네."
부처님은 다시 게송을 읊으셨다.
"어리석은 이가 지혜로운 이를 가까이 하는 것은
국자가 국맛을 모르는 것과 같아
아무리 오래도록 가까이 하여도 그 진리를 알지 못하네.
어진 이가 지혜로운 이를 가까이 하는 것은
혀가 음식 맛을 아는 것과 같아
비록 잠깐 동안 가까이 하더라도 참다운 진리를 아네."
이 일화는 <구미래의 죽음의 재를 태우는 이야기>에서
소개된 내용입니다.
한치 앞도 모르고 살아가는 우리 중생들의 어리석음을 한탄하시면서
충고의 중요성과 더불어 인간의 끝없는 욕심과
사람이 살면서 진짜 바쁘게 해결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를 생각케 하는 내용이 아닐 수 없습니다.
또한, 어리석은 이는 지혜로운 이를 가까이 해야
혀가 음식 맛을 알수 있듯이 참다운 진리를 알 수 있음을
깨우쳐 주고 있습니다.
원불교의 정산 송규종사께서는 그의 법어 법훈편 20장에서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 임종인에게 천도법문 설해 주기가 어렵듯이
스스로 살필 줄 모르는 사람에게
충고의 말 해주기가 어렵나니라."고 하셨습니다.
우리 소중한 님들!
오늘 하루도 즐겁게 기쁘게 살아가면서
지혜로운 이를 가까이 하여 참다운 진리를 알고,
스스로 살필 줄 알아서 충고를 감수하며
일취월장하는 주인공들이 되시길 간절히 염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정천경교무 합장
|